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구과학1 정리 : 04. 다가오는 지구 (1)

by 만물상_만자 2024. 1. 30.
반응형

***2018년에 정리한 내용입니다***

 

지구과학1

04. 다가오는 지구 

1. 천체 관측

 

1] 별자리와 지구의 운동

 

1. 천구와 천구의 구조 

1) 천구와 천구의 구조 

   - 관측자를 중심으로 할 때, 하늘에 있는 반지름이 무한대인 가상의 구

 

 

   ① 천정 / 천저

     - 관측자의 연직선이 위, 아래쪽에서 천구와 만나는 두 점 (관측자 위치에 따라 달라짐)

   ② 천구의 북극 / 남극

     - 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한 선이 천구와 만나는 두 점

   ③ 천구의 적도 

     - 지구의 적도면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선

   ④ 지평선 

     - 관측자가 위치한 지평면을 연장하여 천구와 만나는 선

   ⑤ 수직권 

     - 천정과 천저를 지나는 대원 (천정과 천저를 지나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여러 개일 수 있다)

   ⑥ 시간권

     - 천구의 북극과 천구의 남극을 지나는 대원 (여러 개일 수 있다)

   ⑦ 자오선

     - 천정과 천저, 천구의 북극과 남극을 모두 지나는 대원 (관측자 입장에서 한 개다)

   ⑧ 북점 / 남점 / 동점 / 서점

     - 북점 : 천구의 북극과 가장 가까운 지평면의 점

     - 남점 : 천구의 남극과 가장 가까운 지평면의 점 

     - 동점과 서점 : 북점과 남점에서 지평선을 따라 90˚ 거리에 있는 점

 

■ 천정과 천구의 북극이 한 점이 되는 곳 → 북극으로 가면 된다.

■ 천정과 천구의 남극이 180˚가 되는 곳 → 북극성 아래(북극)

 

2) 지구의 자전과 천체의 일주운동

   -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서 → 동)으로 자전

 

(1) 천체의 일주운동

   - 자전축을 중심으로 천구 상을 동 → 서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 지구가 한 번 자전(360˚)하는데 24시간이 걸리므로, 1시간에 15˚ 움직임 (=15˚/1h)

   (→ 실제로는 천체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겉보기 운동)

 

(2) 위도에 따른 일주운동의 모습

   - 일주권 : 천체가 천구 상에서 일주운동을 하는 경로

   - 일주권은 자전축에 수직하며, 천구의 적도와 평행

 

 

■ 출몰성 : 떴다 지는 별, 예시) 태양

■ 주극성 : 항상 떠 있는 별, 예시) 북극성

■ 전몰성 : 항상 져 있는 별, 예시) 남극성

 

   ① 적도지방

 

   ② 중위도지방 (북반구)

 

   ③ 북극지방

 

■ 우리나라(중위도)에서 본 방위별 일주운동

북쪽(반시계방향) 동쪽(↗) 서쪽(↘) 남쪽(→)

 

3) 지구의 공전과 태양의 연주운동

   - 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1년에 한 바퀴 반시계 방향(서 → 동)으로 공전

 

(1) 태양의 연주운동 (별자리 기준)

   - 태양이 천구 상에서 별자리 사이를 반시계 방향(서 → 동)으로 이동하며 1년마다 천구를 한 바퀴 도는 현상

   - 태양이 한 번 공전(360˚)하는데 1년(365일) 걸리므로, 1일에 약 1˚씩 움직임 (= 1˚/1일)

   (→ 실제로는 태양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공전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겉보기 운동)

 

 

(2) 황도

   - 태양의 연주운동을 하면서 천구 상에서 이동하는 길 (적도와 23.5˚ 기울어져 있음)

   - 황도 12궁 : 황도 주변의 12개 별자리

   - 태양이 있는 달(월)의 별자리는 볼 수 없다.

 

(3) 별의 연주운동

   - 별이 천구 상에서 태양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동 → 서)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 1일에 약 1˚씩 움직임 (= 약 1˚/일)

 

■ 태양과 별의 연주운동 차이

   ① 태양 (별 기준) : 매일 서 → 동 1˚씩 이동

   ② 별 (태양 기준) : 매일 동 → 서 1˚씩 이동

 


 

2] 천체의 위치와 좌표계

 

1. 지평 좌표계

   - 관측자의 지평면과 북점 또는 남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

 

 

   ① 방위각 (A) (0˚ ~ 360˚)

     - 북점 또는 남점으로부터 천체의 수직권까지 시계방향으로 잰 각거리

   ② 고도 (h) (0˚ ~ 90˚)

     - 지평면에서 천체까지 수직으로 잰 각거리

   ③ 천정거리 (z) (0˚ ~ 90˚)   

     - z = 90 - h

 

- 장점 : 관측자 중심이어서 천체를 바로 가리킬 수 있다

- 단점 : 단측자의 위치, 시간에 따라 천체의 위치가 달라짐

 

2. 적도 좌표계

   - 천구의 적도면과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계

 

 

   ① 적경 (α) (0 ~ 24h)

     - 춘분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잰 각거리

   ② 적위 (δ) (0˚ ± 90˚)

     - 천구의 적도면으로부터 천체까지 수직으로 잰 각거리

 

- 장점 : 천체의 일주운동이나 관측자의 위치와 관계없이 천체의 적경, 적위는 항상 일정

- 단점 : 관측자 중심이 아니라 사용하기 어려움 

 

3. 좌표계에서 천체의 움직임

1) 관측자의 위도 = 북극성의 고도

 

 

2) 주극성, 출몰성, 전몰성의 적위 범위

 

 

3) 남중고도 

   - 천체가 일주운동 간에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의 고도 

   - 정남 쪽에 위치했을 때의 고도 

 

 

4) 춘하추동

   - 태양은 항상 적경이 증가하는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이동 

 

 

5) 계절별, 위도별 일주운동

 

 

6) 적위가 큰 별의 특징

 

(적경 : A = B / 적위 : A > B)

 

적위가 큰 별은 

① 지평선 위에 오래 떠 있다.

② 남중고도가 높다.

③ 먼저 뜨고 늦게 진다.

 

7) 적경이 큰 별의 특징

 

(적위 : A = B / 적경 :  A > B)

 

적경이 큰 별은

① 늦게 뜬다.

② 늦게 남중한다.

③ 늦게 진다.

 


 

3] 행성의 운동 

 

1. 태양계 관련 이론

1)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지구중심설)

   -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태양, 달, 행성들이 지구 주위를 공전 (이심원)

   - 지구는 자전하지 않음

 

 

   ① 주전원

     - 행성들은 주전원을 돌고, 주전원의 중심은 지구 주위를 공전

     - 행성의 역행 설명 가능

   ② 수성과 금성의 중심은 태양과 지구를 잇는 선 위에 위치 

     - 수성, 금성의 최대이각 설명 가능

     ■ 이각 : 태양 - 지구 - 행성 사이의 각도 

 

→ 별의 연주시차 / 목성의 4대 위성 / 금성의 보름달 : 설명이 불가능!

 

2)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태양중심설)

   - 태양을 중심으로 하여 지구를 포함한 행성들이 원 궤도로 공전

   - 지구는 하루를 주기로 자전하며, 달은 지구의 주위를 공전 

 

 

   ① 태양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일수록 느리게 공전 

     - 행성의 역행 설명 가능

 

   ② 수성과 금성은 지구보다 안쪽 궤도에서 공전

     - 수성, 금성의 최대이각 설명 가능 

 

→ 별의 연주시차 / 목성의 4대 위성 / 금성의 보름달 : 설명 가능!!!

 

3) 티코브라헤의 절충설

   - 지구는 우주의 중심으로 자전과 공전을 하지 않고, 지구 주위를 달, 태양, 별들이 하루에 한 바퀴를 돈다.

   -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 지동설에서 주장하는 연주시차를 망원경을 통해 실제로 알아보기 위해 관측하였으나, 연주시차를 확인하는 것에 실패하여 천동설과 지동설을 절충하는 이론을 제시

 

→ 별의 연주시차 : 설명 불가능 

→ 목성의 4대 위성 / 금성의 보름달 : 설명 가능

 

설명 가능 여부 천동설 지동설 절충설
행성의 역행 O O O
내행성 최대이각 O O O
별의 연주시차 X O X
목성의 4대 위성 X O O
금성의 보름 X O O

 

구분 천동설 절충설 지동설
우주의 중심 지구 지구 태양
행성의 역행 현상 설명 가능 설명 가능 설명 가능
내행성의 최대 이각
금성의 보름달 모양 위상 설명 불가
연주 시차 설명 불가

 

2. 행성들의 겉보기 운동 

1) 내행성의 운동 

 

 

   ① 내행성의 위치

     - 내합, 외합 : 이각 0˚

     - 동방최대이각, 서방최대이각 : 수성 28˚, 금성 48˚

   ② 내행성의 관측

내합, 외합 6시 ~ 18시까지 하늘에 있으나 관측 불가
서쪽 방향 새벽 동쪽하늘에서 관측 가능 (해뜨기 직전)
동쪽 방향 해지고 난 직후 서쪽하늘에서 관측 가능
- 수성 : 최대 약 2시간 관측 가능
- 금성 : 최대 약 3시간 관측 가능

 

   ③ 시직경과 밝기 

     - 내합으로 올수록 크기가 커지고 밝아지며, 내합에 위치하면 크기는 가장 크나 삭이기 때문에 어두움 

 

   ④ 위상

     - 내합 : 삭 / 외합 : 망

     - 동방최대이각 : 상현 / 서방최대이각 : 하현

 

■ 내행성의 순행과 역행

- 별을 기준으로 행성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함

- 공전속도치이로 인해 발생하는 겉보기 운동 (실제 운동 X)

- 동방최대이각 - 내합 - 서방최대이각에서 역행 (내합 부근)

   ① 순행 : 배경별에 대해 서 → 동으로 움직임 (적경 증가)

   ② 역행 : 배경별에 대해 동 → 서로 움직임 (적경 감소)

■ 내행성의 순행 : 서방최대이각 > 외합 > 동방최대이각

■ 내행성의 역행 : 동방최대이각 > 내합 > 서방최대이각

 

2) 외행성의 운동 

 

 

   ① 외행성의 위치

     - 합 : 이각 0˚ / 충 : 이각 180˚ / 구 : 이각 90˚

   ② 외행성의 관측

 6시 ~ 18시까지 하늘에 있으나 관측 불가
 18시(동) ~ 24시(남) ~ 6시(서)까지 뜨고, 모든 시간에 관측 가능 
동구  12시 ~ 24시까지 하늘에 있고, 18시(남) ~ 24시(서)까지 관측 가능
서구  24시 ~ 12시까지 하늘에 있고, 24시(동) ~ 6시(남)까지 관측 가능 

 

   ③ 시직경과 밝기

     - 충일 때 가장 크고 밝음

   ④ 위상

     - 합 : 망 (관측 불가) / 충 : 망

     - 동구 : 상현보다 큼 / 서구 : 하현보다 큼

 

■ 외행성의 순행과 역행

   - 별을 기준으로 행성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함

   - 공전속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겉보기 운동 (실제 운동 X)

   - 충 부근에서 역행 (지구에서 볼 때 외행성이 충 부근)

     ① 순행 : 배경별에 대해 서 → 동으로 움직임 (적경 증가)

     ② 역행 : 배경별에 대해 동 → 서로 움직임 (적경 감소)

 

■ 지구에서 바라본 외행성의 상대적인 움직임

   - 지구보다 공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임

   - 충 > 동구 > 합 > 서구

 

 

3. 행성들의 회합 주기와 공전주기

1) 회합주기 (= 360˚ 되는데 걸리는 시간)

   - 내행성이 내합(or 외합)에서 다음 내합(or 외합)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 혹은 외행성이 충(or합)에서 다음 충(or 합)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 

   - 행성의 공전주기는 태양을 공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므로, 같이 태양을 공전하는 지구에서 행성의 정확한 공전주기를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회합주기 사용

 

 

(행성의 공전주기 : P / 지구의 공전주기 : E / 회합주기 : S)

 

■ 회합주기 특징

 

 

   ① 내행성은 지구에 가까울수록 회합주기가 큼

   ② 외행성은 지구에서 가까울수록 회합주기가 큼

 

■ 지구와 행성사이의 공전속도차이가 작으면 회합주기가 크다.

 

4. 케플러 법칙

1) 케플러 제1법칙 : 타원궤도의 법칙

   - 모든 행성은 태양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궤도를 그리며 공전 

 

 

긴 반지름 (궤도 장반경) : a

짧은 반지름 (궤도 단반경) : b

이심률 (=찌그러진 정도) : e

 

2) 케플러 제2법칙 : 면적 - 속도 일정의 법칙

   - 행성과 태양을 잇는 선은 같은 시간 동안 같은 면적을 쓸고 지나감 (같은 궤도에서만)

 

 

   ① 행성의 공전속도는 근일점에서 가장 빠르고, 원일점에서 가장 느리다.

 

3) 케플러 제3법칙 : 조화의 법칙

   - 행성의 공전주기의 제곱(P²)은 공전 궤도 장반경의 세제곱(a³)에 비례 (하나의 계 안에서만 작용)

 

 

(G : 만유인력 상수 / M : 중심핵의 질량 / m : 행성의 질량 / a :장반경)

(질량이 너무 작아서 무시한다.)

 


 

4] 태양의 활동

 

1. 태양의 구조 

   - 태양의 핵에서 수소핵융합으로 에너지 방출

   - 핵 주변을 둘러싼 복사층, 대류층을 통해 에너지 전달

 

 

2. 태양의 표면 (광구)

   - 온도는 약 5,800K로써, 대류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가시광선 영역에서 관측

 

1) 쌀알 무늬

 

   - 광구 밑의 대류층에서 일어나는 대류현상 때문에 발생하는 무늬

   - 밝은 부분은 뜨거운 물질의 상승 부분이고, 어두운 부분을 차가운 물질의 하강 부분

 

2) 흑점

 

   - 광구에서 주위보다 검게 보이는 점 

   ① 강한 자기장이 열대류를 억제하여 주위보다 온도가 낮은 지역 (약 4,000 ~ 5,000K)

   ② 흑점은 11년을 주기로 증감하며, 태양활동이 활발할수록 흑점 수 증가

   ③ 태양의 차등자전에 의해 흑점은 위도별로 이동속도가 다름

       적도에서는 자전속도가 빨라 자전주기가 약 25일, 극에서는 약 34일

       흑점의 이동을 통해 태양의 자전주기 및 자전방향을 파악

 

■ 위도별, 연도별 흑점의 분포 

 

 

■ 태양 표면 관측 방법

   ① 투영법 : 천체 망원경의 접안부 뒤쪽에 태양 투영판을 부착하여 관측 (간접적인 방법)

   ② 직시법 : 경통에 태양광을 줄여주는 필터를 부착하여 관측 (직접적인 관측)

 

3. 태양의 대기 

1) 채층

   - 광구 바로 밖의 붉은색 대기층으로, 약 4,500K에서 수만 K까지 이르며, 자외선 영역에서 관측

     ① 홍염 : 아치 형태로 솟아오르는 불꽃 가스 분출물

     ② 스피큘 : 채층 가장자리에 있는 톱날 모양의 불꽃 기둥

 

2) 코로나

   - 태양 가장 바깥쪽 대기층으로, 약 100만 K이며 X선에서 주로 관측

   ① 밀도가 매우 희박

   ② 태양활동의 극대기에 코로나의 크기가 더 커짐

   ③ 광구보다 어두워서 평소에는 가시광으로 관측 불가능하지만, 개기일식 때는 관측 가능

 

■ 플레어

   - 흑점 부근에서 발생하는 격렬한 폭발로써, 우주공간으로 물질을 방출하는 형태 

   - 태양풍 (코로나 물질 분출)을 보내어 자기 폭풍, 오로라, 델린저 현상을 유발

   - 극대기 때 많이 발생함

■ 태양활동 ∝ 코로나의 크기 ∝ 플레어 발생 빈도 ∝ 흑점 수 ∝ 델린저현상, 오로라, 자기폭풍 횟수 

 


 

5] 달의 운동 

 

1. 달의 위상변화 

   - 달은 지구, 태양, 달의 위치에 따라 지구에서 보이는 모양이 달라짐

   ①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햇빛을 반사하는 부분만 밝게 보임

   ② 달은 지구 둘레를 도는 위성

   -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하고 오른쪽부터 차오르고 오른쪽부터 사라진다.

 

2. 달의 위상에 따른 관측시간과 관측 방향 

 

360˚ → 24h

180˚ → 12h

90˚ → 6h

45˚ → 3h

 

  뜨고 지는 시각 관측 시각과 방향
약 6시 ~ 18시 X
초승 약 9시 ~ 21시 18시(서) ~ 21시(서)
상현 약 12시 ~ 24시 18시(남) ~ 24시(서)
약 18시 ~ 6시 18시(동) ~ 24시(남) ~ 6시(서)
하현 약 24시 ~ 12시 24시(동) ~ 6시(남)
그믐 약 3시 ~ 15시 3시(동) ~ 6시(동)

 

3. 달의 공전주기와 동주기 자전

1) 달의 공전주기

   - 공전주기의 기준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짐

 

 

① 항성월 (27.3일)

   - 별을 기준으로 하는 공전주기

   - 실제 달의 공전주기

② 삭망월 ( 29.5일)

   - 위상변화를 기준으로 하는 공전주기

   - 음력 한 달

 

(음력 1일 - 삭 / 음력 15일 - 망 / 음력 7~8일 - 상현)

 

■ 항성월과 삭망월이 기준이 다르다.

 

2) 동주기 자전

   -달의 자전주기와 달의 공전주기(항성월)가 같고, 달의 자전방향과 공전방향이 같아 지구에서 볼 때 항상 달의 한 면만 보이는 현상

 

 

■ 지구가 1회 자전하는 동안 달은 지구 주위를 약 12˚(= 360˚/30일)정도 공전하기 때문에 매일 50분 정도 늦게 뜬다.

   (360˚ = 약 30일, 12˚ = 1일 / 1시간 → 15˚, 50분 → 12˚)

 

4. 일식과 월식

1) 일식

   -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

 

 

   ① 위치 : 태양 - 달 - 지구 순으로 배치 (달의 위상은 삭)

   ② 진행방향 : 지구에서 바라보면, 태양의 오른쪽부터 가려짐

   ③ 종류 

     - 개기일식 : 본그림자에서 일식을 관측할 경우, 태양이 달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보임

                         태양의 채층, 코로나를 육안으로 관측 가능 (태양의 시직경 ≤ 달의 시직경)

     - 부분일식 : 반그림자에서 일식을 관측할 경우, 태양의 일부분이 달에 의해 가려져 보임

     - 금환일식 : 본그림자에서 일식을 관측할 때, 달의 위치가 평균적인 달의 공전궤도보다 멀리 있는 경우 달의 가장자리에 반지고리처럼 태양이 보임 (태양의 시직경 > 달의 시직경)

 

■ 황도와 백도는 5˚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달 식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월식

   -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리는 현상

 

 

   ① 위치 : 태양 - 지구 - 달 순으로 배치 (달의 위상은 망)

   ② 진행방향 : 지구에서 바라보면, 달의 왼쪽부터 가려짐

   ③ 종류

     - 개기월식 : 달의 전체가 지구 본 그림자 안에 들어있는 경우, 붉은 달이 보임

                         (빛의 산란에 의해 개기월식 때는 붉은 달로 관측 가능)

     - 부분월식 : 달의 일부가 지구 본 그림자에 있는 경우, 달의 일부분이 가려져 보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