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 - 농약학 : 2021년 3월

by 만물상_만자 2024. 3. 2.
반응형

2021년 3월 7일 필기 기출문제

 

4과목 : 농약학

 

1. 식물생장 조정제가 아닌 것은?

① 지베렐린계

② 에틸렌계 

③ 사이토키닌계

④ 실록산계

 

답 : 4

식물생장 조정제 : 옥신, 지베렐린, 시토키닌, 에틸렌, 아브시스산(ABA)

 

2. 분제(입제 포함)의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현수성 (suspensibility)

② 비산성 (floatability)

③ 부착성 (depositin) 

④ 토분성 (dustibility)

 

답 : 1

현수성 : 수화제 성질

 

3. 농약사용 후에 나타나는 약해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① 표류비산에 의한 약해

② 휘산에 의한 약해

③ 잔류농약에 의한 약해

④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답 : 4

농약 품질불량에 의한 나타나는 약해 - 원제 부성분

 

4. 50%의 fenobucarb 유제(비중 : 1) 100mL를 0.05%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L)은?

① 49.95

② 99.9

③ 499.5

④ 999.9

 

답 : 2

50% / 0.05% = 1000

0.1L × 1000 = 100L

100 - 0.1 = 99.9L

 

5. 급성독성 강도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① 흡입독성 > 경피독성 > 경구독성

② 경구독성 > 흡입독성 > 경피독성

③ 흡입독성 > 경구독성 > 경피독성

④ 경피독성 > 경구독성 > 흡입독성

 

답 : 3

 

6. 경구 중독에 대한 설명과 해독 및 구호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입을 통해서 소화기내로 들어와 흡수 중독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② 인공호흡을 시키고 산소를 흡입시킨 다음 안정시킨 후 모포 등으로 싸서 보온시킨다. 

③ 따뜻한 물이나 소금물로 위를 세척한다.

④ 약물이 장내로 들어갈 염려가 있을 때는 황산마그네슘 용약에 규조토 등을 타서 먹여 배설시킨다.

 

답 : 2

경구중독인 경우 인공호흡하면 안 된다!!!

 

7. 미생물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약효가 속효성이다.

② 적용병해충 범위가 제한적이다.

③ 화학농약에 비하여 약효가 저조하다.

④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답 : 1

미생물 농약의 약효는 지효성

 

8. 다음 중 작물 잔류성이 가장 낮은 약제는?

① 침투성 약제

② 유용성(油溶性) 약제

③ 증발하기 쉬운 약제

④ 작물에 부착성이 큰 약제

 

답 : 3

 

9. 농약 원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제화한 제형은?

① 유제(乳劑)

② 수화제(水和劑)

③ 액제(液劑)

④ 수용제(水溶劑)

 

답 : 3

 

10. 다음 중 희석하여 살포하는 제형이 아닌 것은?

① 유제(乳劑)

② 분제(粉劑)

③ 수용제(水溶劑)

④ 수화제(水和劑)

 

답 : 2

분제 : 주제를 증량제와 혼합 분쇄하여 200~300mesh의 가는 입자로 만든 것이어서 희석할 필요가 없다

 

11. 농약의 작용기작에 의한 분류 중 parathion이 속하는 분류는?

① 에너지대사 저해

② 호르몬 기능 교란

③ 생합성 저해

④ 신경기능 저해

 

답 : 4

파리치온 : 유기인계 살충제, 신경기능 저해

 

12. 주성분의 조성에 따른 농약의 분류에서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Carbamic acid과 amine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② BHC와 같이 환상구조를 가지는 것과 ethane의 유도체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 나누어진다.

③ 산소 및 황의 위치 및 수에 따라 품목이 분류된다.

④ 분자 구조 내에 질소를 3개 가지는 트리아진 골격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다.

 

답 : 1

카바메이트 농약

- Carbamic acid과 amine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 살충제나 제초제로 사용된다.

- 아세틸콜린에스트라이제(AChE) 저해제로 접촉독 작용

- 속효성이며 침투 이행성이 좋다

- 체내 분해가 빠르다.

-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다.

- 잔효력이 짧다.

 

13. 미탁제나 유탁제 등 신규제형이 각광받지 못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고가로 인한 경제성 문제 

②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부족

③ 보수적 농민의 선호도 부족

④ 인축 독성이 강한 유기용매의 함유

 

답 : 1

 

14. 다음 중 사과의 부란병 방제에 적합한 약제는?

① polyoxin A

② polyoxin B

③ polyoxin C

④ polyoxin D

 

답 :4

 

15. Parathion의 구조식으로 옳은 것은?

 

답 : 3

 

16. 살선충제 농약은?

① Cadusafos

② Chlorpyrifos

③ Diazinon

④ Dichlorvos

 

답 : 1

카두사포스 : 유기인계 살선충제 (뿌리혹선충)

 

17. 농약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표현하는 저항성 계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① 저항성 LD50 / 감수성 LD50

② 감수성 LD50 × 저항성 LD50

③ 감수성 LD50 / 복합저항성 LD50

④ 감수성 LD50 × 복합저항성 LD50

 

답 : 1

 

18. sulfonylyrea계 제초제가 아닌 것은?

① Benslfuron

② Prometryn

③ Cinosulfuron

④ Flazasulfuron

 

답 : 2

프로메트린 : 트리아진계 제초제

-furon : 설포닌우레아계

 

19. 유제를 1500배로 희석하여 액량 15L로 살포하려 할 때 필요한 원액약량(mL)은?

① 1

② 10

③ 100

④ 1000

 

답 : 2

15,000 / 1500 = 10mL

 

20.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 시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

① 토양 중 잔류특성(supervised residue trial in soil)

② 안전계수(safety factor)

③ 1일 섭취 허용량(ADI)

④ 최대무작용량(NOEL)

 

답 : 1

1일 섭취 허용량(ADI) = 최대무작용량(NOEL) × 0.01(안전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