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에 정리한 내용입니다***
***삐뚤빼뚤한 글씨체지만 열심히 적어보았습니다***
생명과학1
03. 항상성과 건강
3. 방어 작용
1. 질병과 병원체
1) 질병
(1) 비감염성 질병 : 전염되지 않는 질병, 생활 방식, 유전, 환경 등이 원인
예시) 당뇨병, 암 등
(2) 감염성 질병 : 다른 사람에 전염되는 질병, 병원체의 침입으로 발생
예시) 감기, 결핵 등
2) 병원체의 종류와 특성
(1) 세균
① 특징 - 핵이 없는 단세포 원핵 세포
- 대부분 세포벽(성분 - 펩티도글리칸)이 있으며, 일부는 피막을 가짐
- DNA는 응축된 형태로 세포질에 있음, 대부분 플라스미드 가짐
② 증식 방법 : 이분법
③ 세균에 의한 질병 : 결핵, 세균성 식중, 파상풍, 흑사병, 탄저병 등
④ 치료법 : 항생제 사용
⑤ 종류(형태에 따라 구분) : 구균(식중독과 폐렴군), 간균(이질균), 나선균(헬리코박터파이로리균)
(2) 바이러스
① 특징 - 핵산과 단백질로 구성, 비세포 구조
- 독자적인 효소가 없어 독립적으로 물질대사를 하지 못 함
② 증식 과정 : 숙주 세포 표면에 결합
→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이 숙주 안으로 침입
→ 숙주 세포의 효소를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 복제
→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에 의해 단백질 껍질 합성
→ 자손 바이러스의 조립
→ 바이러스 방출
③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 : 독감, 천연두, 홍역,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AIDS, 소아마비 등
④ 바이러스성 질병의 치료 : 항바이러스제 사용
▶ 바이러스성 질병의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 숙주 세포의 물질대사 체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 이용 시 숙주 세포에 독성 나타냄
- 돌연변이가 잘 일어나 치료제의 효과가 낮음
⑤ 구분
● 숙주의 종류에 따라 - 동물성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등)
- 식물성 바이러스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등)
- 세균성 바이러스(박테리오파지)
● 핵산의 종류에 따라 - DNA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박테리오파지 등)
- RNA 바이러스 (HIV,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3) 세균과 바이러스의 비교
세균 | 바이러스 | |
차이점 | - 세포 구조 - DNA, RNA 모두 가짐 - 스스로 물질대사 가능(숙주 없이 증식 가능) - 항생제로 치료 |
- 비세포 구조 -DNA, RNA 중 하나 가짐 - 스스로 물질대사 불가능(숙주 없이 증식 불가능) -항바이러스제로 치료하지만 치료가 어려움 |
공통점 | -병원체 -유전물질을 가짐, 돌연변이 발생 |
(4) 원생 동물과 곰팡이
① 특징 : 진핵 세포로 이루어진 병원체
→ 항생제 효과가 없음, 진핵 세포 병원체에 효과가 있는 약물은 사람에게도 독성이 나타날 수 있음
② 원생동물 : 매개 곤충을 통하여 인체 내로 들어가 번식하여, 독소를 분비하거나 조직을 파괴하여 질병을 일으킨다.
└> 원생돌물에 의한 질병 : 말라리아, 수면병 등
③ 곰팡이 : 균류가 직접 증식하거나 균류가 생산하는 독성 물질을 섭취하여 증상이 나타난다.
└> 곰팡이(균류)에 의한 질병 : 무좀, 만성 폐질환, 뇌막염 등
(5) 프라이온
① 특징 - 핵산이 없는 단백질성 감염 입자
- 정상적인 프라이온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포유류의 신경 세포에 존재하며, 뇌세포의 기능을 도움
- 신경계의 퇴행성 질병 유발, 바이러스보다 작음
- 접촉에 의한 정상 프라이온 단백질이 변형 프라이온 단백질로 구조 변화
→ 다량 축적 시 신경 세포 파괴
- 인체에서 잠복기가 길고, 끓이거나 삶는 등의 일반적인 소독법으로는 제거 불가능
② 프라이온에 의한 질병 : 크로이츠펠트·야콥병(사람), 스크래피(양), 광우병(소)